•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특허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특허DB

일련번호 171 대표도면
종류 버섯
종명 Flammulina velutipes (Curt.) Singer_팽나무버섯, 팽이버섯
대표 IPC A61K-035/78
국가 KR
대표출원인 니와 코조
출원번호C KR19990039799
출원일자 1999-09-16
공개번호 KR20000023206
공개일자 2000-04-25
등록번호
등록일자  
우선일(번호) 1998.09.17 (JP 10-263753), 1998.11.13 (JP 10-32337
패밀리 특허 AU4486299A, BE1012725A5, CA2282234A1, CN1255376A, DE19944695A1, DK123599A, ES2155802A1, ES2155802B1, FR2783426A1, FR2788697A1, GB2341800A, GB9920710D0, GB9921387D0, ID23150A, IL131722D0, IS5183A, IT1307267B1, ITTO990784A1, ITTO990784D0, JP2000159682A, KR20000023206A, NL1013049A1, NL1013049C2, NL1019705A1, NL1019705C2, NO994463A, NO994463D0, SE0100195D0, SE0100195L, SE9903307D0, SE9903307L, SG76631A1, ZA200005759A, ZA9905910A
명칭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함유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요약 본 발명은 β-글루칸 함유 버섯을 로스팅(roasting)하고, 그후 "코지(Koji)"를 첨가하고 발효시키며, 이어 유제를 제조하는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에 대한 발명,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생약 함유 조성물의 발명,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량의 증가율이 크면 내복투여시 항종양 활성이 더 큰 것으로 평가 및 예상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 그리고 상기 방법들을 이용하여 생약에 적용된 처리의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대표청구항 1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한 생약에 적용하는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약을 원적외선에 의해 로스팅(roasting)하는 로스팅 단계,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로스팅과 발효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기능 항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