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특허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특허DB

일련번호 58 대표도면
종류 육상식물
종명 Distylium racemosum Sieb. & Zucc. var. racemosum_조록나무
대표 IPC A01N-065/00
국가
대표출원인 재단법인 서울대학교 산학협력재단
출원번호C KR20050087813
출원일자 2005-09-21
공개번호 KR20070065927
공개일자 2007-06-27
등록번호 KR0821926
등록일자 2008-04-07
우선일(번호)
패밀리 특허 KR100821926B1, KR20070065927A
명칭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드기 알레르기원 중화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요약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드기 알레르기원 중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전 세계 주요 집먼지진드기 종들이 생산하여 각종 질환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알레르기원들을 중화시킬 수 있는 천연 식물체 추출물 및 식물체 정유 그리고 이들에 함유된 활성물질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정유를 함유한 단백질 중화제 조성물 및 이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대표청구항 3 식물 또는 진균류로부터의 추출물(탄닌산 제외)로 이루어지고,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또는 영장류 부고환 곤충 탈피 단백질(primate epididymal insect molting protein)의 중화 또는 변형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중화제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상동나무(Sageretia theezans), 비양나무(Villebrunea frutescens), 좀깨잎나무(Boehmeria spicata),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찔레나무(Rosa multiflora),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ulatum var. ciliatum),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um), 화살나무(Euonymus alatus), 소귀나무(Myrica rubra), 붓순나무(Illicium religiosum), 산매자나무(Hugeria japonica), 빗죽이나무(Cleyera japonica),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꽝꽝나무(Ilex crenata),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백목련(Magnolia denudate), 울괴불나무(Lonicera praeflorens),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뱀무(Geum japonicum), 신이대(Sasa coreana), 곰취(Ligularia fischeri),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새우나무(Ostrya japonica), 푸조나무(Aphananthe aspera), 여름나무(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is), 참개암나무(Corylus sieboldiana), 때죽나무(Styrax japonica), 새머루(Vitis flexuosa), 검은재나무(Symplocos prunifolia), 고추나무(Staphylea bumalda), 팥배나무(Sorbus alnifolia), 후피향나무(Ternstroemia japonica), 된장풀(Desmodium caudatum),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합다리나무(Meliosma oldhamii),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삼지(Epimedium koreanum), 산사(Crataegus pinnatifida), 피마자(Ricinus communis), 오매(Prunus mume), 육두구(Myristica fragrans), 산수유(Cornus officinalis), 창이자(Xanthium sibiricum), 공사인(Amomum villosum),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두충(Eucommia ulmoides), 약쑥(Artemisia princeps), 향유(Elsholtzia ciliate), 연교(Forsythia suspense),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강활(Notopterygium incisum),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건칠(Rhus verniciflua), 괴화(Sophora japonica), 반하(Pinellia ternate), 해동피(Kalopax pictum), 차전자(Plantago asiatica) , 용규(Solanum nigrum), 사상자(Cnidium monnieri), 패장근(Patarinia scabiosaefolia), 측백(Thuja orientalis), 창출(Atractylodes chinensis), 속단(Dipsacus asper), 가자(Terminalia chebula), 소자(Nephelium lappaceam), 상기생(Viscum album var. coloratum), 대황(Rheum undelatum), 계피나무, 대회향(Illicium verum),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진균류는 저령(Grifola umbellate) 버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알레르기 단백질 중화제.
기능 알레르기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