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24
분류 육상식물
영어종명 Quercus salicina Blume
한글종명 참가시나무
언어 kor
저자 구현아 ; 김해수 ; 박수남
식별번호 JAKO201425852032084
논문발행일 2014
저널명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Quercus salicina Blume . antibacterial activity . stability . cosmetic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 및 크림 안정성 평가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 후 참가시나무 추출물 함유 크림을 제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항균활성은 피부상재균인 Gram (+)균 S. aureus, B. subtilis, P. acnes와 Gram (-)균 E. coli, P. aeruginosa로 실험 하였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세가지 분획은 공통적으로 Gram (-) 세균인 E. coli에서는 항균 활성이 낮으며 Gram (-)균 P. aeruginosa에서 모두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참가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S. aureus, B. subtilis, P. acnes, P. aeruginosa균에서 1,200 μg/ml, 2,500 μg/ml, 1,200 μg/ml, 312 μg/ml으로 낮은 최소저해 농도를 가졌다. 따라서 참가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25% 함유한 크림을 제조한 후 크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크림은 4개의 서로 다른 온도(4, 20, 37, 45℃)와 태양 광선 하에서 12주 동안 보관 한 후 점도, pH 및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의 점도와 흡광도는 위에 언급된 여러 가지 온도 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pH는 피부의 약산성도 범위(pH 4.5-6.5) 값을 가졌다. 12주 동안 크림의 변색이나 변취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크리밍이나 응집과 같은 물리적인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참가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이 높으며 이를 함유한 크림은 다양한 온도와 태양광선 하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몇 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기능 항산화, 항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