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30
분류 육상식물
영어종명 Distylium racemosum Sieb. & Zucc. var. racemosum
한글종명 조록나무
언어 kor
저자 오순자 ; 고석찬
식별번호 JAKO200908349654100
논문발행일 2009
저널명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Angiosperm plants . Antioxidative activity . a-Amylase inhibitory activity . Bioactive materials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제주도에 자생하는 피자식물의 항산화활성과 a-amylase 저해활성 검색
초록 제주도에 자생하는 피자식물 289종 454점을 대상으로 항산화활성과 αα -amylase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으로 측정한 항산화활성은 붉나무의 오배자, 굴피나무의 열매, 참죽나무의 줄기 메탄올 조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붉나무의 오배자의 항산화활성은 94.2 ±± 0.8%로 본 실험에 동일 농도의 대조구로 사용된 BHA(61.7 ±± 0.6%)와 ascorbic acid(53.6 ±± 0.7%) 보다도 활성이 높았다. 그리고 붉나무, 굴피나무, 참죽나무 이외의 나머지 52점의 식물들도 차나무 잎의 활성보다 높았다. αα -Amylase 저해활성은 곰의말채의 줄기와 잎, 조록나무의 잎과 소지, 정금나무의 잎 등 9종 11점에서 8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앞으로 식품 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활성성분의 분리 및 동정 그리고 이들 물질을 이용한 임상실험 등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기능 항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