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36
분류 육상식물
영어종명 Styrax obassia Sieb. & Zucc.
한글종명 쪽동백나무
언어 kor
저자 정진아 ; 권수현 ; 김영중 ; 신창섭 ; 이철희
식별번호 JAKO200717317909439
논문발행일 2007
저널명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Polyphenols . Flavonoids . Antioxidative effect .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 Seed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탐색
초록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13종의 식용 및 약용식물의 종자추출물을 조제하여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주목에서 각각 57.51mg?g?157.51mg?g?1 과 7.98mg?g?17.98mg?g?1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자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머루 ×× \'캠벨얼리\' 교배종에서 RC50 이 0.03mg?ml?10.03mg?ml?1 로 가장 높았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고음나무 종자에서 RC50RC50 이 0.109mg?ml?10.109mg?ml?1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erric thiocyanate(FTC) 방법으로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감나무, 고욤나무, 당후박나무, 쪽동백나무, 머루, 머루 ×× \'캠벨얼리\' 교배종, 묏대추나무, 대추나무의 종자추출물에서 BHT와 유사한 수준의 억제활성을 보였다. 종자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활성은 감나무, 고욤나무, 탱자나무, 벚나무, 묏대추나무, 대추나무에서만 나타났으며, 특히 고음나무에서 가장 높았다.
기능 항산화, Tyrosinase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