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45
분류 육상식물
영어종명 Carpinus tschonoskii Maxim.
한글종명 개서어나무
언어 English
저자 하성이
식별번호 DIKO0013413064
논문발행일 2014
저널명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개서어나무 수피에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이 있는 페놀성 화합물의 분리와 항피부노화 작용평가
초록 Hornbeams이라고 불리는 Carpinus 속 식물은 자작나무과에 속하며 전세계적으로 약 40종이 분포하고 한반도에서는 5종의 C.tschonoskii, C.laxiflora, C.cordata, C.turczaninowi, and C.coreana가 자라고 있다. 이들 식물들의 주요성분으로 판단되는 tannins을 포함한 Phenol성 화합물들은 항산화 및 항염활성 이외에도 직접적인 항노화활성이 있는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rpinus 속 식물중에서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CT) 로부터 Phenol성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화학구조를 밝혔으며, 이들 화합물에 대한 각종 생리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CT의 수피로부터 Phenol성 화합물의 분리 및 확인을 시도하여 2개의 flavonoids [afzelin (5), quercetin (6)]과 3개의 ellagitannins [tellimagrandin I (1), pedunculagin (2), gemin D (3)], 1개의 gallotannin [2,3-digalloyl-O-glucopyranoside (4)]을 분리하고 구조를 확인하였다. CT에서 분리한 Phenol성 화합물은 DPPH, NBT 실험에서는 (1), (2), (3), (4)가 동일하게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NO 생성 억제 활성에서는 6가지 화합물 중 (1), (2), (3), (6) 이 우수한 NO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s (1-6) 를 이용하여 인간유래의 대식세포 (THP-1 cell) 에서 염증매개물질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억제효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컴파운드에서 우수한 염증억제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 탄닌계열의 물질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피부노화와 관련된 활성을 평가하고자 주름 및 미백과 관련된 실험을 진행할 때는 항산화와 항염효과면에서 월등한 extract와 탄닌류(1-4)를 가지고 평가하였다. 주름관련한 실험으로는 Real-time PCR을 통해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PCOLCE, Elastin] 및 분해[MMP-1, MMP-2, MMP-9, TIMP-1, TIMP-2]의 발현량을 측정하였고, 미백관련한 실험으로는 melanin contents, L-Tyrosine와 L-DOPA를 기질로 한 Tyrosinase activity (in cell free system) 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독성이 나오지 않은 농도(0.5, 1, 2.5 μM)에서 ellagitannins(compound 1-3)이 주름과 미백에 관련된 인자에 작용하여 합성 및 분해에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개서어나무의 extract와 compound들은 우수한 항산화, 항염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피부노화와 관련된 주름 및 색소침착 억제실험에서는 유의성이 불충분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좀더 다양한 농도에서 추가 실험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 항산화, 항염증, 항피부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