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46
분류 육상식물
영어종명 Opuntia ficus-indica (L.) Mill. var. saboten Makino
한글종명 선인장
언어 kor
저자 홍세정
식별번호 DIKO0012739116
논문발행일 2012
저널명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백년초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추출물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초록 2000년대 이후 \'웰빙(well-being)\' 붐과 함께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저자극적인 천연 물질에 대한 연구(김보미, 2011)가 현대에 이르면서 자연주의를 표방한 \'웰리스(wellness)\' 개념의 보편화는 천연물질에 대한 선호도가 증대됨에 따라 천연물질에 대한 유효성과 안정성을 토대로 천연물질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백년초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에서 추출한 물질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백년초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은 우리나라 남쪽지방(제주도, 거제도, 남해안)에서 자생하며 매년 4∼5월 경에 개화하고 11∼12월 경에 자주색 열매를 맺는 귀화식물이다. 이 식물의 열매와 줄기의 주된 성분은 무기질(Ca, Mg, Na, K)과 vitamin C, polyphenol 함량이 높으며(김기쁨, 2007) 예로부터 기(氣)의 원활한 소통을 도와 혈액순환 증진 및 해독효과(본초강목, 영남체약록, 본진민간초약)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질환 및 화상치료 등의 피부재생효과와 다이어트와 변비, 피부의 항노화 작용효과로 쓰이고 있다(강소신의학원, 1985). 본 연구에서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이하 OFSE 라 한다)을 이용한 천연화장품 사용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OFSE를 이용하여 천연 물질을 소재로 한 효과적인 원료를 개발함으로써 화장품 산업에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18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 기간은 2011년 5월 16일부터 2011년 7월 11일까지 8주 동안 진행하였다. 피부 측정은 Mulitiprobe Adapter System MPA5(이하 MPA5라 한다)를 사용하여 OFSE 사용 기간( 3회 / 4회)에 따른 피부의 수분함유량, 유분함유량, pH, 멜라닌, 홍반, 수분증발량, 탄력도 등의 피부상태 변화 값을 비교하였다. OFSE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 scavenging 값이 100 ㎍/㎖ 결과를 나타내었고 총 25% 소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OFSE 자체에 항산화 활성을 띄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결과에서는 거주지가 서울이 가장 많았으며(83.3%), 연령(M=22.89), 키(M=160.56), 몸무게(M= 52.72), BMI지수(M=20.48)로 나타났다. 3회 측정군의 실험 후 피부상태 변화 결과를 살펴보면 OFSE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유량, pH, 멜라닌, 홍반, 탄력도는 꾸준히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분함유량과 수분증발량은 유의한 차이 값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OFSE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전반적으로 유분함유량이 증가하여 실험 전보다 건강한 피부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수분증발량 또한 감소하여 사용 전보다 촉촉한 피부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4회 측정군의 실험 후 피부상태 변화 결과를 살펴보면 OFSE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유량, pH, 멜라닌, 홍반, 수분증발량, 탄력도는 꾸준히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 같은 경우, 실험군은 5.84에서 5.5로 피부 상태의 밸런스가 적절하게 맞춰지게 되었다. 유분함유량은 유의한 차이 값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OFSE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피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FSE 사용이 피부관리, 자각하는 피부상태, 주관적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피부가 당기는 정도, 피부 표면의 고르기, 번들거림, 가려움증이나 홍반 등의 피부관리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나타내어 피부상태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각하는 피부상태(끈적임, 트러블, 피부톤, 표정 주름 등), 주관적 피부상태 또한 유의한 음의 값으로 감소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OFSE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를 통해 유효성(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고 OFSE를 이용한 천연 화장품의 사용이 피부상태를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건강한 피부관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피부의 수분함유량, pH, 멜라닌, 탄력도 부분에서는 더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앞으로 연구에서 다양한 제형(시트마스크팩, 크림, 에센스, 립밤, 미스트 등)의 OFSE 화장품을 제조하여 임상실험이 이루어진다면 다기능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 항산화, 보습, 미백, 피부탄력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