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가. 식물상 1. 헌인릉의 생태?경관보존지역의 관속식물상은 69과 187속 261종44변종 8품종 313분류군이었으며. 목본식물은25과 51속 70종 9변종 7품종 86분류군이었고, 초본식물은 44과 136속 191종 35변종 1품종 227분류군이었다. 초본식물 227분류군 중 일년생 초본은42분류군(18.5%), 이년생 초본은 24분류군(10.6%), 다년생 161 분류군(70.9%)가 분포하고 있었다.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은 4과 9속 14종 3변종 17분류군 (5.4%)이었고, 나자식물은 2과 2속 4분류군(1.3%)이었으며, 피자식물은 63과 176속 243종 41변종 8품종 292분류군(93.3%) 으로 확인되었다. 피자식물의 단자엽식물은 8과 45속 68종 8변종 76분류군(24.3%), 쌍자엽식물은 55과 131속 175종 33변종 8품종 216분류군(69.0%)이었다. 분포된 식물 중 벼과 29속 30종 4변종 34분류군(10.9%)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국화과23속 28종 6변종 1품종 35분류군 (11.2%), 장미과 14속 15종 5변종 2품종 22분류군(7.0%), 사초과 4속 20종 1변종 21분류군(6.7%) 등의 순이었다. 2. 헌인릉의 생태?경관보존지역과 문화재지역인 조사지역 전체의 관속식물상은 81과 229속 310종49변종 8품종367분류군이었으며. 목본식물은39과 68속 99종 7변종 6품종 112분류군(30.5%)이었고, 초본식물은 55과 161속 211종 42변종 2품종 255분류군(69.5%) 이었다. 초본식물 255분류군 중 일년생 초본은53분류군(20.8%), 이년생 초본은 25분류군(9.8%), 다년생 177 분류군(69.4%)가 분포 하고 있었다.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은 8과 10속 17종 4변종 21분류군(5.7%) 이었고, 나자식물은 2과 2속 5분류군(1.4%)이었으며, 피자식물은 71과 217속 288종 45변종 8품종 341분류군(92.9%) 이었다. 피자식물의 단자엽식물은 13과 55속 82종 9변종 91분류군(24.8%), 쌍자엽식물은 58과 162속 206종 36변종 8품종 250분류군 (68.1%)이었다. 분포된 식물 중 벼과 35속 37종 5변종 42분류군(11.4%)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국화과25속 31종 7변종 1품종 39분류군(10.6%), 장미과 16속 18종 6변종 2품종 26분류군(7.1%), 사초과 6속 22과 1변종 23분류군(6.3%) 등의 순이었다. 3. 조사지역에 관속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범위로 광범위 다분포 (3A) 가 32분류군(8.7%), 국지적 다분포 (3B)가18분류군(4.9%), 광범위 중분포 (2A)가 73분류군(19.9%), 국지적 중분포 (2B)가 108분류군 (29.4%), 광범위 소분포 (1A)가 18분류군(4.9%), 국지적 소분포 (1B) 가 118분류군(32.2%)이었다. 4. 헌인릉의 생활형을 분류한 결과 지상식물 (M) 15.9%, (N) 16.5%, 반지중식물 (H) 19.4%, 지표식물 (Ch) 10.1%, 지중식물 (G) 13.6%, 일년생식물 (Th) 22.5%, 수생 및 습지식물 (HH)는 2.0%이었다. 5. 2008년도 생태?경관보존지역의 식물상 다양성은 1.60이었다. 오리나무군락의 식물상 다양성은 1.29, 식물상 동질성은 0.155 이었고, 갈참나무군락은 식물상 다양성이 1.31, 식물상 동질성은 0.183 이었으며, 소나무군락은 식물상 다양성이 1.17, 식물상 동질성은 0.312 이었다. 조사 전 지역의 식물상 다양성은 1.67 이었다. 6. 자원식물은 347분류군(94.6%)이었다. 유용성에 따라 식용자원 188분류군(51.2%), 약용자원 259분류군(70.6%), 관상자원 167분류군(45.5%), 초지자원 71분류군(19.3%), 공업원료자원 51분류군(13.9%), 목재자원 17분류군(4.6%)이었다. 7. 특산식물로는 12과 12속 11종 2변종 1품종 14분류군(3.8%)이 분포하고 있었다. 8. 환경부의 멸종위기야생식물Ⅱ급,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멸종위기 종으로 지정된 미선나무와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위기종인 붓꽃과의 솔붓꽃, 약관심종인 백합과의 나도개감채가 조사되었다. 서울시 보호종인 관중과 긴병꽃풀이 분포하고 있었다. 9. 식물구계학적인 특정식물종 Ⅴ등급의1종, Ⅳ등급의 1종, Ⅲ등급의 9분류군, Ⅱ등급의 5분류군, Ⅰ등급의 12분류군으로 모두 28분류군(7.6%)이 분포하고 있었다. 10. 귀화식물은11과 22속 25종 1변종으로 2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환경부의 자연환경 보전법에 의한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돼지풀과 서양등골나물이 있었다. 귀화율은 7.1%, 도시화지수는 9.1%로 분석되었다. 나. 식생 1. 헌인릉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산림구조는 오리나무 군락(Alnus japonica Community), 갈참나무 군락(Quercus aliena Community), 소나무 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나누었다. 오리나무군락(Alnus japonica Community); A1. 오리나무 - 은행나무 하위군락(Ginkgo biloba subcommunity), A2. 오리나무 - 고마리 하위군락(Persicaria thunbergii subcommunity), A3. 오리나무 - 노랑물봉선화 하위군락 (Impatiens noli-tangere subcommunity), A4. 오리나무 - 실포아풀 하위군락(Poa acroleuca subcommunity), A5. 오리나무 - 때죽나무 하위군락(Styrax japonica subcommunity), A6. 오리나무 - 갈참나무 하위군락(Quercus aliena subcommunity). 갈참나무군락(Quercus aliena Community); Q1. 갈참나무 - 콩제비꽃 하위군락(Viola verecunda subcommunity), Q2. 갈참나무 - 쪽동백나무 하위군락(Styrax obassia subcommunity), Q3. 갈참나무 - 당단풍 하위군락(Acer pseudo-sieboldiana subcommunity).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P1. 소나무 - 쪽동백나무 하위군락(Styrax obassia subcommunity), P2. 소나무 - 주름조개풀 하위군락 (Oplismenus undulatifolius subcommunity). 2. 식생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CCA분석에 의하면 환경요인중 토양함수량에 대한 오리나무군락의 변이폭이 크며 오리나무군락내 오리나무 - 고마리 하위군락, 오리나무 - 노랑물봉선 하위군락, 오리나무 - 실포아풀 하위군락은 토양내 함수량이 큰 쪽에 위치하며 오리나무 - 은행나무 하위군락, 오리나무 - 때죽나무 하위군락, 오리나무 - 갈참나무 하위군락은 중습하거나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갈참나무 군락내 갈참나무 - 콩제비꽃 하위군락은 약간 중습한 지역에 분포하며 그 외의 다른 군락은 하위군락과 더불어 토양내 함수량이 적은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군집구조 6개의 평균상대우점치와 종다양도를 분석한 결과 교목, 아교목층인 오리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M.I.V.)는 19.33%으로 가장 높고, 갈참나무(10.30%), 쪽동백나무(7.39%), 때죽나무(5.65%), 소나무(5.34%)순이고 아교목층인 당단풍(6.46%)이 있었다. 관목층 으로는 찔레가 9.20%, 쥐똥나무는 4.43%이다. 4. 목본 전체의 종다양도는 2.63, 최대다양도는 3.43, 균재도는 0.76, 우점도는 0.24를 나타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