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49
분류 육상식물
영어종명 Cocculus trilobus (Thunb.) DC.
한글종명 댕댕이덩굴
언어 English
저자 서윤형
식별번호 DIKO0011989236
논문발행일 2010
저널명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방기의 류마티스 활막 세포의 염증반응에 대한 영향의 연구
초록 Sinomenium acutum는 방기(防己)의 덩굴성 줄기 및 뿌리줄기로 되어 있으며, 약전에는 Stephania tetrandrae Rhizoma와 Cocculus trilobus등과 함께 쓰인다. 알려진 Sinomenium acutum의 성분은 Phenanthrene alkaloid, aporphine alkaloid, berberine alkaloid 등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는 소염작용, 항알러지작용, 해열진통작용, 심혈관계 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이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류마티스 활막세포의 주요한 염증매개 물질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1, -2, prostaglandin synthases, and prostaglandins(PGE2)에 Sinomenium acutum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인체 류마티스 환자의 활막세포에서의 연구를 시행하기로 하였다. 활막세포를 류마티스환자로부터 추출한 후 24 well plate에 배양시킨 후 LPS 및 다양한 농도 (0, 1, 10, 100, 1000 or 10000 μg/ml) 의 방기를 처리하고 MTT assay를 측정하였다. iNOS, COX-1,2 그리고 PGE2 생성은 Western bot와 ELASA로 관찰하였고, NO는 Greiss reaction assay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X-2의 발현양은 Sinomenium acutum에 의해 유의적으로 농도별로 감소되었고, 그에 따라 PGE2의 생성량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Sinomenium acutum는 COX-1와 mPGES-1의 발현양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iNOS 또한 Sinomenium acutum에 의해 유의적으로 농도별로 감소되었고, 이에 따라 측정한 NO의 양도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방기는 류마티스 활막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COX-2를 감소시키고, PGE2, NO의 생성양을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Sinomenium acutum이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을 나타내는 것이다.
기능 항염증, 항알레르기, 해열진통, 항암, 항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