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109
분류 버섯
영어종명 Armillaria mellea (Vahl) P. Kummer
한글종명 뽕나무버섯
언어 English
저자 Chen, YJ; Wu, SY; Chen, CC; Tsao, YL; Hsu, NC; Cho
식별번호 WOS:000331423000019
논문발행일 2014.01
저널명 11/03/2017
출판사 ELSEVIER SCIENCE BV
이용횟수 11/0
피인용횟수 34
저자 키워드 Armillarikin; Armillaria mellea; Apoptosi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ukemia
키워드플러스 ACID PHENETHYL ESTER; HYDROGEN-PEROXIDE; HL-60 CELLS; DEATH; ANTIOXIDANT; EXPRESSION; INDUCTION; PATHWAYS; TNF
논문제목 Armillaria mellea 구성 성분인 armillarikin의 인간 백혈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현상
초록 아시아에서 의약적인 음식으로 흔히 사용되는 Armillaria mellea는 중국 전통적인 약 “Tien-ma”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Armillarikin은 불분명한 생물 의약 기능을 가진 A. mellea로부터 분리되었다. 연구에서는 armillarikin이 미토콘드리아 막 관통 전위의 감소를 동반하는 세포자살에 주로 기인하는 세포사(apopsosis)를 일으키며,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백혈병 K562, U937 및 HL-60 세포의 생존을 억제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Armillarikin은 caspase-8, caspase-9, caspase-3, 및 caspase-3 substrate PARP의 분열을 유도한다. Armillarikin에 의해 유도된 성장억제와 세포사멸은 pan-caspase 저해제인 Z-VAD-fmk에 의해 거꾸로 되돌려질 수 있다. 게다가, armillarikin은 세포내 ROS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ROS 생산을 감소시키면 armillarikin에 의한 세포의 아폽토시스가 방지되고, 이는 ROS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caspase 활성화와 인간의 백혈병 1에서 보이는 ROS 생산 관련 메커니즘을 통해, 성장과 유도되는 아폽토시스가 armillarikin에 의해 저해된다.
기능 항백혈병, 백혈구의 사멸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