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련번호 | 113 |
|---|---|
| 분류 | 버섯 |
| 영어종명 | Coprinus comatus (O.F.M?.ll.) Pers. |
| 한글종명 | 먹물버섯 |
| 언어 | English |
| 저자 | Stojkovic, D; Reis, FS; Barros, L; Glamoclija, J; |
| 식별번호 | WOS:000324280000037 |
| 논문발행일 | 2013.09 |
| 저널명 | 11/03/2017 |
| 출판사 |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
| 이용횟수 | 11/0 |
| 피인용횟수 | 28 |
| 저자 키워드 | Coprinus comatus; Edible mushroom; Nutrients/non-nutrients; Antioxidant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
| 키워드플러스 | ANTIOXIDANT PROPERTIES; EDIBLE MUSHROOMS; CHEMICAL-COMPOSITION; NUTRITIONAL-VALUE; MYCELIA; CELLS; BROTH; MICE; CAP |
| 논문제목 | 야생 또는 재배된 Coprinus comatus (OFMull.) Pers.의 영양조성, 비영양조성 및 바이오활성 |
| 초록 | 버섯은 다양한 가능성을 가진 생체 분자의 소스로 보고되었다. Coprinus comatus의 재배 및 야생 시료를 비교하고, 이 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Free sugars, fatty acids, tocopherols, 유기산 and 페놀릭산 물질들이 크로마토그래피 기술과 연결된 다양한 검툴기로 분석되었다. C. comatus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능력(환원력, 라디칼 소거능 및 지질 과산화 억제)과 항세균성(미세균류,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세균)이 테스트 되었다. 간세포에 대한 독성은 돼지의 간 일차 세포에서 시험 하였다. 두 연구 샘플은 유사한 영양 가치와 에너지 기여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야생 버섯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유기산 및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하며, 재배 샘플, 유리 당, 단일 불포화 지방산과 토코페롤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재배종은 (그람 음성 세균과 Aspergillus ochraceus는 제외) 가장 높은 항산화 잠재력과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두 종은 돼지 간세포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Coprinus comatus 종의 재배와 야생 버섯이 식품으로 영양 및 생리 활성 화합물의 원천으로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또한 야생종과 재배종 샘플의 차이를 처음으로 연구했다. |
| 기능 | 항산화, 항균, 항 간세포독성(간세포 보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