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117
분류 버섯
영어종명 Boletus edulis Bull.
한글종명 그물버섯
언어 English
저자 Moro, C; Palacios, I; Lozano, M; D\'Arrigo, M; Gui
식별번호 WOS:000296267400019
논문발행일 2012.01.15
저널명 FOOD CHEMISTRY
출판사 ELSEVIER SCI LTD
이용횟수 35
피인용횟수 41
저자 키워드 Edible mushrooms; Methanolic extracts; Phenolic compounds; Anti-inflammatory activity
키워드플러스 NF-KAPPA-B; NITRIC-OXIDE; ANTIOXIDANT ACTIVITIES; INONOTUS-OBLIQUUS; INFLAMMATION; EXPRESSION; CELLS; PREVENTION; COMPOUND; LYCOPENE
논문제목 LPS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식용 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초록 요즘 식용 버섯은 생리 활성 물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기능성 식품으로써 사용하는 것에 큰 관심이 모인다. 식용 버섯의 생리 활성 물질은 면역자극 활성에 대해 크게 입증되었지만, 그들의 잠재적인 항염 활성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Agaricus bisporus, Boletus edulis, Cantherellus cibarius, Cratarellus cornucopioides, Lactarius deliciosus와 Pleurotus ostreatus의 활성화 된 대식세포에 대해, 여러 식용 버섯 종에서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LPS 자극에 반응하여 NO 생산은 iNOS, IL-1-베타 및 116 mRNA 발현의 억제를 유도하며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종은 A. bisporus, C. cibarius 및 L deliciosus이다. C. cornucopioides은 NO 생산 및 iNOS의 발현 억제 유도를 하는데, 다른 종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일부 식용 버섯 종들이 자연적 소염제 성분들의 잠재적인 근원이 될 수 있도록 제안하며, 시험관 내에서 항염증 능력을 보였다.
기능 항염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