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158
분류 미생물
영어종명 Proteus vulgaris
한글종명
언어 kor
저자 신미옥
식별번호 JAKO201032654094241
논문발행일 2010
저널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antioxidative activity . antimicrobial activity .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AK)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군소 내장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초록 본 연구는 해양생물 중 페기되어지인 군소내장을 추출하고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효과를 알아 본 결과 AKMB층이 286.66 ㎍/mL에서 50%의 DPPH free radical의 소거활성을 보여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 제거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AKMB층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4.73 ㎍/mL에서 50%의 ROS 제거 활성을 나타내었고, ONOO- 제거활성 역시 AKMB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5.64 ㎍/mL에서 50%의 ONOO- 제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효과 실험결과, Proteus vulgaris의 경우는 AKMH층과 AKMM층의 두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외 사용한 모든 균주에서는 AKMM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항산화효과는 군소내장의 부탄올 분획층인 AKMB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균효과는 주로 메탄올 분획층인 AKMM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군소내장의 AKMB층과 AKMM층에서 항산화 활성과 항균력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앞으로 더욱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물질들의 분리를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활성성분을 이용한 식품 저장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천연 식품 보존제 등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진다.
기능 항세균제 억제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