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생물자원DB
  •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제주생물자원DB

제주생물자원 논문DB

일련번호 43
분류 육상식물
영어종명 Distylium racemosum Sieb. & Zucc. var. racemosum
한글종명 조록나무
언어 English
저자 김혜란
식별번호 DIKO0013665197
논문발행일 2015
저널명
출판사
이용횟수
피인용횟수
저자 키워드
키워드플러스
논문제목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um ) 추출물의 아데노바이러스 36 증식 및 지질 축적 억제능
초록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질환으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 인자이다. 비만을 일으키는 많은 원인들 중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데노바이러스 36은 동물 및 사람에게 비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가 되고 있지만, 천연물질을 이용한 아데노바이러스 36 증식을 억제하는 비만치료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져 있지 않다. 선행연구로 항산화 및 항콜레스테롤 효능을 가지는 조록나무, 참가시나무, 다정큼나무를 선별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콜레스테롤, 항지질 효과를 비교하고 아데노바이러스 36 증식 억제능을 규명하였다. 3가지 추출물 모두 5 m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양성 대조군인 Quercetin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산화 물질인 총 페놀류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134.53 mg GAE/g extract, 85.20 mg GAE/g extract, 65.20 mg GAE/g extract 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록나무 추출물의 50 ㎍/ml의 농도에서 3T3-L1 지방세포의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고 지질 축적 주요 유전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ed receptor-γ)와 adipocyte protein 2 (aP2)의 발현 억제와 아데노바이러스 36 증식을 억제 하였다. 따라서 조록나무 추출물을 비만 및 아데노바이러스 36 치료제로 개발 할 수 있는 후보물질로 사료된다.
기능 항산화, 항콜레스테롤, 항지질, 아데노바이러스 36 증식 억제